이 문서를 다른 웹이나 출판물에 게시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최종 수정일 : 2001년 9월 14일 글쓴이 : 윤 일(admin@rooman.org)
HOW-TO Network Configuratoin
이번 강좌에서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 파일인 /etc/sysconfig/network,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etc/resolv.conf, /etc/hosts 파일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대부분의 네트워크 설정은 netcfg 유틸을 이용하면 손쉽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파일들을 직접 수정해서 사용할 일은 극히 드물겠지만 한번쯤 읽어 보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etc/sysconfig/network # 호스트 네임과 게이트웨이등을 설정하는 파일이다. NETWORKING=yes # 네트워크 기능을 on 할것인지 off 할것인지 설정한다. 당연히 yes로 설정해야 되겠지요. HOSTNAME=ns1.rootman.org # 호스트 네임을 설정한다. 반드시 완벽한 도메인으로 설정해야 된다. 리눅스 서버 데몬중에는 이 호스트 네임을 참조해서 # 작동되는 것들이 있기 때문에 잘못된 호스트 네임 설정으로 인해 데몬이 정상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파치 # 데몬은 호스트 네임이 잘못 설정되어 있을 경우 start 되지 않는다. GATEWAYDEV=eth0 # 게이트 웨이 장치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경우 eth0, 즉 첫번째 랜카드를 설정해서 사용할 것이다. GATEWAY=203.241.205.254 # 게이트 웨이 주소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 /etc/syscofnig/network 파일을 수정한 후 받드시 network를 restart 시켜 줘야 된다. [root@rootman root]# /etc/init.d/network restart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ifcfg = Interface Config) # network interface 장치에 대한 설정을 하는 파일이다. 위의 경우는 eth0 즉 첫번째 랜카드에 대한 설정 파일이다. # 랜카드가 두개인 시스템에서는 ifcfg-eth1도 편집해야 되겠지요. 그리고 루프백 장치인 ifcfg-lo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 있기 때문에 특별히 편집해야 될 일이 없다. DEVICE=eth0 # 인터페이스 장치명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첫번째 랜카드는 eth0, 두번재 랜카드는 eth1로 설정된다. BOOTPROTO=none # BROADCAST=203.241.205.255 # 브로드 캐스터 주소를 적는 부분이다. IPADDR=203.241.205.91 # IP 주소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NETMASK=255.255.255.0 # 넷 마스크값을 설정한다. NETWORK=203.241.205.0 #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한다. ONBOOT=yes # 부팅시에 인터페이스 장치를 활성화 # /etc/syscofnig/network 파일을 수정한 후 받드시 network를 restart 시켜 줘야 된다. [root@rootman root]# /etc/init.d/network restart
::/etc/resolv.conf 사용할 DNS 서버 주소를 설정하는 파일이다. 자체적으로 네임서버를 운영할 경우에는 루프백 주소인 127.0.0.1을 설정해도 되는만 ISP에서 제공하는 DNS 서버를 이용하는 것이 시스템 리소스를 조금이라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루트맨의 웹서버도 ISP의 DNS를 이용하고 있다. # /etc/resolv.conf search rootman.org nameserver 134.75.30.1 nameserver 203.241.192.9
위의 설정 중에서 'nameserver'로 설정된 부분은 사용할 DNS 서버 주소이고 'search'라는 특이한 설정이 있는데 이 설정에 특정 도메인을 설정해 두면 DNS 서버에 질의할 때 'search'에 설정된 도메인을 덧붙여서 먼저 찾게 된다. 예를 들면 위의 설정에는 'rootman.org'가 설정되어 있는데 만약 telnet linux 라고 명령하면 linux 뒤에 'search'에 설정된 도메인을 덧 붙여서 linux.rootman.org를 먼저 DNS에 검색하게 된다. 즉 타이핑의 수고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만약 search에 .com 을 설정한다면 웹 브라우저에서 redhat만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redhat.com에 접속된다. search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etc/hosts 이 파일은 자체 forward zone 파일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이 파일에 특정 아이피에 대해 호스트 네임을 설정하고 닉 네임을 설정해서 사용하면 되는데 다음의 설정예를 보면서 이해하도록 하자. # /etc/hosts 203.241.205.97 rootman.co.kr rootman 203.241.205.91 telnet
첫번째 필드에 IP 주소를 설정하고 두번째 필드에는 호스트 네임을 설정하는데 본인 마음대로 설정하면 된다. 세번째 필드는 호스트 네임에 대한 닉네임을 설정하는 부분인데 설정 안해도 된다. 이 설정에서 중요한 것은 IP 주소이다. 특정 아이피에 대해 마음대로 호스트 네임을 정하고 닉네임을 붙일 수 있다. 위의 경우 IP 주소 203.241.205.91의 호스트 네임을 telnet 이라고 설정했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에서 telnet 이라고 적고 엔터를 치면 IP 주소 203.241.205.91의 웹 사이트가 열리게 된다. 위와 같이 /etc/hosts를 설정하면 telnet이라는 호스트 네임에 대해 IP 주소 203.241.205.91로 해석하게 된다. 이런 설정은 회사내, 또는 학교내에서 여러 아이피를 외우고 있기가 불편할 때 사용하면 아주 편리하다. 예를 들어 IP를 203.241.205.95를 friend 라고 설정하면 friend라는 호스트 네임을 이용해서 203.241.205.95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또 203.241.205.94를 yahoo.com으로 설정하면 이 시스템에서만큼은 yahoo.com을 IP 주소 203.241.205.94로 인식하게 된다. 잘만 이용하면 여러모로 편리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것이 어떻게 성립이 되는지 궁금할 것이다. 바로 그 답은 /etc/host.conf 파일에 있다. 일반적으로 /etc/host.conf 파일을 열어 보면 다음과 같이 설정 되어 있을 것이다. # /etc/host.conf order hosts,bind
위의 설정이 의미하는 것은 도메인에 대해 질의할 때 hosts 파일을 먼저 참고하고 답을 찾지 못하면 bind 즉 DNS에 질의하라는 의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특정 아이피를 /etc/hosts에 yahoo.com으로 등록시켜 놓으면 yahoo.com이라는 호스트 네임은 그 아이피를 가리키게 되는 것이다. 시스템에서 hosts 파일부터 참고 하기 때문에... 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는데 그냥 그대로 두고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는 바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