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윈도우용 SSH(SCP) Server freeSSHd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보안] 윈도우용 SSH(SCP) Server freeSSHd | |||||
---|---|---|---|---|---|
글쓴이 | ![]() ![]() ![]() ![]() ![]() |
날 짜 | 08-04-12 11:29 | 조 회 | 3675 |
2000년대 접어들면서 리눅스에서는 암호화 통신인 ssh 사용이 일반화 되었습니다. 그리고 ssh 를 이용하여 ftp 대신 sftp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저 역시 대부분의 서버작업을 ssh 를 이용하며 ftp 대신 sftp 를 이용합니다. 그런데 윈도우에서는 서버작업시 터미널을 주로 이용하는데 문제는 ftp 였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sftp 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없나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윈도우용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는 대표적으로 putty(ssh) 나 winscp(sftp) 등이 있지만 윈도우 ssh Server 용 프로그램은 본적이 없었던거 같습니다. 구글링을 해보니.. cygwin 으로 openssh 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있었지만 http://pigtail.net/LRP/printsrv/cygwin-sshd.html 귀차니즘과 어느정도 아시는 분들이나 문제없이 설치할듯 하고 해서 계속 찾아보니.. 몇가지 프로그램을 발견했지만 대부분 유료가 많았습니다. 그러다 freeSSHd 라는 프로그램을 찾게되었고 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쉽게 구축할수 있더군요. 다음은 freeSSHd 를 이용하여 설치 및 설정을 하는 방법입니다. 테스트환경 : 윈도우 XP 프로페셔널 필요 환경 : NT 계열 freeSSHd Download : http://www.freesshd.com 다운로드에 가시면 하시면 2개의 설치 실행화일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freeSSHd.exe 는 ssh server 를 설치하는 install 화일이고 freeUserImport.exe 는 윈도우 계정을 ssh 서버로 접근가능하게 컨버팅해주는 util 입니다. 우선 freeSSHd.exe 를 실행합니다. 설치중에 어려움은 없을거고 설치 중간에 시스템 서비스로 등록하겠느냐고 나오는데 그건 여러분의 판단에 맏기겠습니다. 저같은경우는 등록해서 사용했습니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고 freeSSHd 셋팅을 할 차례입니다. 트레이에 못보던 아이콘이 생기고 클릭하면 freeSSHd 아래와 같이 셋팅창이 뜰겁니다. 1. Server satatus Telnet Server 와 SSH Server 의 실행 과 중지를 하는곳입니다. ![]() 2. Telnet 텔넷 서버의 설정을 하는경우 설정합니다. 그러나 텔넷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텔넷을 사용할거라면 굳이 freeSSHd를 설치할 필요가 없죠. ![]() 3. SSH Listen address 에서 특정 IP를 지정할수도 있습니다. Max number of connections 설정은 최대 접속갯수를 설정합니다. 0은 제한이 없다는 것입니다. Idle timeout 은 입력이 없으면 얼마후에 접속을 서버쪽에서 종료시키는 기능입니다. 0은 제한이 없습니다. Command shell 은 SSH 접속시 사용할 명령어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리눅스에서는 shell 이죠. 그외 옵션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RSA , DSA 설정은 기본값으로 두고.. 다음 ![]() 4. Authentication ssh 인증을 어떤식으로 할것이냐는 것입니다. 패스워드 방식과 공개키 방식이 있습니다. 저는 두가지 경우를 모두 선택했습니다. 여기서 Allowed 와 Required 는 차이가 없습니다. 공개키 생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puttygen.exe 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puttygen.exe 다운로드 puttygen.exe 사용방법은 인터넷에도 자료가 많으니 따로 정리하지 않겠습니다. ![]() 5. Encryption 어떤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할것인가를 선택합니다. ![]() 6. Tunneling freeSSHd 를 통해 터널링을 지원할것인가의 여부를 설정합니다. 실제 원격에서 putty 등을 통해 터널링을 이용할수있습니다. putty 설정을 통해 외부접속하는 방법은 인터넷에 ssh 터널링으로 검색해보면 될듯하고 스쿨에도 꽤 자료가 있습니다. ![]() 7. SFTP sftp 접속시 홈디렉토리를 설정합니다. 여러가지 sftp 프로그램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winscp 를 추천합니다. winscp 다운로드 ![]() 8. Automatic updates 업데이트 설정입니다. ![]() 9. Online users 현재 접속해 있는 User 리스트를 출력합니다. 해당유저를 두번클릭하면 Disconnect 버튼이 활성화 되며 해당 유저의 접속을 강제로 종료시킬수 있습니다. ![]() 10. Logging 아래와 같이 체크하면 사용자들의 접속 기록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 11. Host restrictions 접속 제한 IP들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tcp_wrapper 와 같은 보안정책을 실행합니다. Allow only these IP addresses : 전체를 막고 지정한 특정 IP의 접속을 허용합니다. Refuse these IP addresses : 전체를 풀고 지정한 특정 IP의 접속을 차단합니다. ![]() 12 Users 현재 등록된 User를 등록, 수정, 삭제 할수 있습니다. Add 를 클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새창이 뜹니다. Login : ID입력 Authorization : 인증은 윈도인증, 패스워드, 공개키인증방식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패스워드 방식을 선택하면 패스워드 입력창이 활성화 됩니다. ![]() 여기까지 설정이 되었다면 freeSSHd 의 셋팅이 모두 끝났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그건 윈도우의 방화벽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분들은 잘 아실거라 생각하지만 혹시 잘모르시는 분들도 있다고 보고 윈도우 방화벽에서 22번 포트를 푸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제어판 => Windows 방화벽 => 고급탭 선택 후 설정하려는 연결설정을 선택한후 설정을 클릭 => 고급설정창이 뜨고 추가 버튼을 클릭한후 아래의 이미지에 나와있는것처럼 설정을 하시면됩니다. ![]() 쩝 설명을 적는다는게 이미지 캡쳐하다보니 시간이 꽤 걸리네요.. |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